종합소득세 신고, ‘홈택스나 손택스에서 클릭 한 번이면 된다’는 말, 정말일까요?😮 지금 바로 신고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올해 바뀐 간편신고 방법과 혜택까지, 꼭 확인하세요!
빠르고 정확한 신고 꿀팁을 지금 확인해보세요!
2024년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은?
2024년도 종합소득세 신고는 5월 1일부터 6월 2일까지입니다. 단, 성실신고확인 대상자의 경우에는 6월 30일까지 연장됩니다. 이때는 반드시 세무대리인이 작성한 성실신고확인서를 첨부해야 합니다.
신고와 납부, 어떻게 해야 할까?
신고는 국세청의 홈택스 또는 손택스를 통해 전자신고로 가능하며, 납부는 가상계좌 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 금융기관 납부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납부 세액이 1천만 원을 초과하면 일부 금액을 분납할 수 있습니다.
모두채움 안내문 수신자라면 더 간편하게!
모두채움 안내문을 받은 납세자는 ARS ☎1544-9944를 통해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전화 한 통으로 신고부터 납부까지 처리할 수 있으며, 이후 정상 접수 여부는 문자로 통보됩니다. 단, 수정이 필요하다면 홈택스 또는 손택스를 이용하세요.
홈택스·손택스 전용화면으로 더 쉬운 신고
홈택스 및 손택스 첫 화면에서 ‘소득세 신고하기’ 메뉴를 통해 본인의 신고유형에 맞는 전용화면으로 안내됩니다. 모바일 이용 시에도 모두채움 안내문 내 링크를 클릭하면 손택스로 바로 이동됩니다.
인적공제 요건, 놓치지 마세요!
올해부터는 인적공제 요건에 대한 안내 메시지가 더욱 친절하게 제공됩니다. 부양가족 등 공제 대상 확인이 가능하므로 신고 전에 꼭 확인해보세요. 실수로 공제 누락되는 일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간편 요약 표로 보는 핵심 정보
구분 | 신고 대상 | 신고 기간 | 신고 방법 | 납부 방법 |
---|---|---|---|---|
일반 납세자 | 2024년도 종합소득 발생자 | ~ 6월 2일 | 홈택스/손택스 | 가상계좌, 카드, 금융기관 |
성실신고 대상자 | 일정 기준 이상 소득자 | ~ 6월 30일 | 홈택스/손택스 + 확인서 | 분납 가능 |
모두채움 수신자 | ARS 안내문 수신자 | 전화신고 가능 | ☎1544-9944 | ARS 문자로 계좌 안내 |
Q&A
Q1.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A. 신고하지 않으면 무신고 가산세(20%) 및 납부 지연에 따른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Q2. 홈택스와 손택스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홈택스는 PC에서, 손택스는 모바일 앱에서 이용 가능한 전자신고 시스템입니다. 기능은 유사하지만 접근 방식이 다릅니다.
Q3. 모두채움 안내문이 뭔가요?
A. 국세청에서 간단하게 신고할 수 있도록 기초 정보가 포함된 안내문입니다. ARS나 손택스를 통해 빠르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Q4. 인적공제 대상에서 빠뜨리기 쉬운 경우는?
A. 부모님, 대학생 자녀, 장인·장모 등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공제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꼼꼼히 확인하세요.
Q5. 세무서에 직접 방문해야 하나요?
A. 대부분의 신고 및 납부는 온라인과 전화로 처리 가능하므로 직접 방문은 거의 필요하지 않습니다.
정리하며
종합소득세 신고는 더 이상 복잡하거나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홈택스와 손택스를 활용하고, 모두채움 안내문을 잘 활용한다면 빠르고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고, 잊지 말고 신고하세요!
지금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로 더 많은 금액을 낼 수도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절세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